무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은 입술과 연구개로 좁혀지는 입 안을 통해 공기가 흐르며, 성대가 울리지 않는 무성음이다. 슬로베니아어에서는 무성 자음 앞에 오는 v가 이 소리로 변이되며, 콘월어, 아일랜드 영어, 스코틀랜드 영어, 뉴질랜드 영어, 미국 남부 영어 등에서 'wh' 철자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순음 -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마찰음은 입술을 가볍게 맞대고 공기를 강하게 내쉬어 만드는 무성 구강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나거나 다른 자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며 한국어와 일본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양순음 - 양순 비음
양순 비음(/m/)은 입술을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는 유성 비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며 구개화, 연구개화, 인두화 등의 변이음이 존재한다. - 연구개음 - 유성 연구개 파열음
유성 연구개 파열음은 성대 진동을 동반하여 혓바닥과 연구개가 만나 공기를 막았다 터뜨리는 소리로, 국제 음성 기호로 'ɡ'로 표기되며, 일부 언어에서는 발음의 어려움이나 다른 소리와의 혼동이 있을 수 있고 한국어 'ㄱ' 발음의 한 예시이다. - 연구개음 - 무성 연구개 파열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은 혀 뒤쪽과 연구개 사이에서 공기가 막혔다가 터지면서 나는 소리로, /k/로 표기되며 'ㅋ'과 유사하고, 여러 변이음을 가지며 언어에 따라 사용 정도가 다르다. - 접근음 - 무성 경구개 설측 접근음
- 접근음 - 무성 연구개 설측 접근음
무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 | |
---|---|
음성학적 정보 | |
음성 기호 (IPA) | ʍ |
음성 기호 (IPA) | xʷ |
음성 기호 (IPA 번호) | 169 |
유니코드 10진수 | 653 |
X-SAMPA | W |
키르셴바움 | w |
![]() | |
브라유 점자 | ! |
브라유 점자 (대안) | w |
특징 | |
조음 방법 | 마찰음 |
조음 위치 | 양순음, 연구개음 |
발성 | 무성음 |
다른 표기 | |
다른 표기 | [w̥] |
다른 표기 | [hʷ] |
다른 표기 | [hw] |
다른 표기 | [xw] |
다른 표기 | [xʷ] |
2. 특징
무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3. 언어별 사용 예시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의 알류트어에서는 'hw'로 표기되는 단어에서 이 소리가 나타난다.[4] 아타바스칸어족의 후파어에서는 'xwe꞉yhup'에서 무성 순음화된 연구개 마찰음으로 나타난다.[6] 시노티베트어족의 캄어에서는 'ह्वा'로 표기되며 접근음으로 설명된다. 살리시어족의 루쇼트시드어와 슈스왑어에서도 이 음소를 찾을 수 있다. 언어 고립어인 와쇼어에서는 순음화된 연구개 마찰음 또는 무성 접근음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계통 |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
에스키모-알류트어족 | 알류트어[4] | Atkan | 'hw'ax̂ | 연기 | ||
Bering | 'ʼЎ'aӽ | |||||
아타바스칸어족 | 후파어[6] | xwe꞉yhup | 그의 재산 | 무성 순음화된 연구개 마찰음. | ||
시노티베트어족 | 캄어 | Gamale Kham | ह्वाkgj | 이 | 접근음으로 설명됨. | |
살리시어족 | 루쇼트시드어 | dxʷʔiyblut | 뉴할렘, 워싱턴 | |||
살리시어족 | 슈스왑어 | secwepemctsínshs | 슈스왑어 | |||
와쇼어 (고립어) | Wáʔiwas | 또는 | 그가 하고 있어 | 순음화된 연구개 마찰음 또는 무성 접근음으로 다양하게 묘사. |
3. 1. 게르만어파
영어의 경우, 보수적인 RP[5], 재배된 남아프리카[5], 보수적인 제너럴 아메리칸[5], 아일랜드[5], 스코틀랜드[5], 남부 미국[5], 뉴질랜드[5] 등에서 'whine'과 같은 단어에서 이 소리가 나타난다. 영어의 는 일반적으로 순음 연구개 마찰음 또는 접근음이다. 일반적으로 /hw/로 음운적으로 표시되지만, 음성적으로 [h] + [w]의 시퀀스는 없다 (영어 음운론 참조). 제너럴 아메리칸과 뉴질랜드 영어에서는 일부 화자만이 와의 구별을 유지한다. 유럽에서는 아일랜드 영어와 스코틀랜드 영어 억양에서 주로 들을 수 있다.[5] 영어 음운론 및 wh의 음운론적 역사를 참조.
3. 2. 켈트어파
콘월어에서 사용되는 '''hw'''ikw는 SWF에 의해 로 발음되며, '너희 모두'를 뜻한다.[4]3. 3. 슬라브어파
- 슬로베니아어: 첫소리에서 v가 무성 자음 앞에 올 때 변이음으로 난다.[4]
계통 |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슬라브어족 | 슬로베니아어[4] | [슬로베니아어#쓰기 시스템|v'se]] | '모든 것' | 무성 자음 앞 음절 시작 부분의 변이음은 모음 와 자유롭게 변동한다.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유성 로 소리난다.[4] 슬로베니아어 음운론 참조. |
3. 4. 기타 언어
- 슬로베니아어: 첫소리에서 v가 무성 자음 앞에 올 때 변이음으로 난다.[4]
- 콘월어: hw에서 이 소리가 난다.
- 아일랜드 영어, 스코틀랜드 영어, 뉴질랜드 영어, 미국 남부 영어: wh에서 이 소리가 난다.
계통 | 언어 | 단어 | IPA | 의미 | 비고 | |
---|---|---|---|---|---|---|
에스키모-알류트어족 | 알류트어[4] | Atkan | 'hw'ax̂ | rowspan=2| | 연기 | |
Bering | 'ʼЎ'aӽ | |||||
켈트어파 | 콘월어 | SWF | hwikgj | 너희 모두 | ||
게르만어파 | 영어 | 보수적인 RP[5] | 'wh'ine | rowspan=3 align=center| | 칭얼거리다 | 영어 는 일반적으로 순음 연구개 마찰음 또는 접근음이다. 일반적으로 /hw/로 음운적으로 표시되지만, 음성적으로 [h] + [w]의 시퀀스는 없다 (영어 음운론 참조). 제너럴 아메리칸과 뉴질랜드 영어에서는 일부 화자만이 와의 구별을 유지한다. 유럽에서는 아일랜드 영어와 스코틀랜드 영어 억양에서 주로 들을 수 있다.[5] 영어 음운론 및 wh의 음운론적 역사를 참조. |
재배된 남아프리카 | ||||||
보수적인 제너럴 아메리칸 | ||||||
아일랜드 | rowspan=2 align=center| | |||||
스코틀랜드 | ||||||
남부 미국 | align=center| | |||||
뉴질랜드 | align=center| | |||||
아타바스칸어족 | 후파어[6] | xwe꞉yhup | 그의 재산 | 무성 순음화된 연구개 마찰음. | ||
시노티베트어족 | 캄어 | Gamale Kham | ह्वाkgj | 이 | 접근음으로 설명됨. | |
살리시어족 | 루쇼트시드어 | dxʷʔiyblut | align=center| | 뉴할렘, 워싱턴 | ||
살리시어족 | 슈스왑어 | secwepemctsínshs | align=center| | 슈스왑어 | ||
슬라브어족 | 슬로베니아어 | [슬로베니아어#쓰기 시스템|v'se]] | align=center| | 모든 것 | 무성 자음 앞 음절 시작 부분의 의 변이음은 모음 {{lang|sio|u|} | }와 자유롭게 변동한다. 유성 자음 앞의 유성 . 슬로베니아어 음운론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