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은 입술과 연구개로 좁혀지는 입 안을 통해 공기가 흐르며, 성대가 울리지 않는 무성음이다. 슬로베니아어에서는 무성 자음 앞에 오는 v가 이 소리로 변이되며, 콘월어, 아일랜드 영어, 스코틀랜드 영어, 뉴질랜드 영어, 미국 남부 영어 등에서 'wh' 철자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양순음 - 무성 양순 마찰음
    무성 양순 마찰음은 입술을 가볍게 맞대고 공기를 강하게 내쉬어 만드는 무성 구강음으로, 일부 언어에서 음소로 나타나거나 다른 자음의 변이음으로 나타나며 한국어와 일본어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 양순음 - 양순 비음
    양순 비음(/m/)은 입술을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는 유성 비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며 구개화, 연구개화, 인두화 등의 변이음이 존재한다.
  • 연구개음 - 유성 연구개 파열음
    유성 연구개 파열음은 성대 진동을 동반하여 혓바닥과 연구개가 만나 공기를 막았다 터뜨리는 소리로, 국제 음성 기호로 'ɡ'로 표기되며, 일부 언어에서는 발음의 어려움이나 다른 소리와의 혼동이 있을 수 있고 한국어 'ㄱ' 발음의 한 예시이다.
  • 연구개음 - 무성 연구개 파열음
    무성 연구개 파열음은 혀 뒤쪽과 연구개 사이에서 공기가 막혔다가 터지면서 나는 소리로, /k/로 표기되며 'ㅋ'과 유사하고, 여러 변이음을 가지며 언어에 따라 사용 정도가 다르다.
  • 접근음 - 무성 경구개 설측 접근음
  • 접근음 - 무성 연구개 설측 접근음
무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
음성학적 정보
음성 기호 (IPA)ʍ
음성 기호 (IPA)
음성 기호 (IPA 번호)169
유니코드 10진수653
X-SAMPAW
키르셴바움w
IPA 유니코드 0x028D
IPA 유니코드 0x028D
브라유 점자!
브라유 점자 (대안)w
특징
조음 방법마찰음
조음 위치양순음, 연구개음
발성무성음
다른 표기
다른 표기[w̥]
다른 표기[hʷ]
다른 표기[hw]
다른 표기[xw]
다른 표기[xʷ]

2. 특징

무성 양순 연구개 접근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3. 언어별 사용 예시

에스키모-알류트어족의 알류트어에서는 'hw'로 표기되는 단어에서 이 소리가 나타난다.[4] 아타바스칸어족의 후파어에서는 'xwe꞉yhup'에서 무성 순음화된 연구개 마찰음으로 나타난다.[6] 시노티베트어족의 캄어에서는 'ह्वा'로 표기되며 접근음으로 설명된다. 살리시어족의 루쇼트시드어와 슈스왑어에서도 이 음소를 찾을 수 있다. 언어 고립어인 와쇼어에서는 순음화된 연구개 마찰음 또는 무성 접근음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계통언어단어IPA의미비고
에스키모-알류트어족알류트어[4]Atkan'hw'ax̂연기
Bering'ʼЎ'aӽ
아타바스칸어족후파어[6]xwe꞉yhup그의 재산무성 순음화된 연구개 마찰음.
시노티베트어족캄어Gamale Khamह्वाkgj접근음으로 설명됨.
살리시어족루쇼트시드어dʔiyblut뉴할렘, 워싱턴
살리시어족슈스왑어secwepemctsínshs슈스왑어
와쇼어 (고립어)Wáʔiwas또는그가 하고 있어순음화된 연구개 마찰음 또는 무성 접근음으로 다양하게 묘사.


3. 1. 게르만어파

영어의 경우, 보수적인 RP[5], 재배된 남아프리카[5], 보수적인 제너럴 아메리칸[5], 아일랜드[5], 스코틀랜드[5], 남부 미국[5], 뉴질랜드[5] 등에서 'whine'과 같은 단어에서 이 소리가 나타난다. 영어의 는 일반적으로 순음 연구개 마찰음 또는 접근음이다. 일반적으로 /hw/로 음운적으로 표시되지만, 음성적으로 [h] + [w]의 시퀀스는 없다 (영어 음운론 참조). 제너럴 아메리칸과 뉴질랜드 영어에서는 일부 화자만이 와의 구별을 유지한다. 유럽에서는 아일랜드 영어스코틀랜드 영어 억양에서 주로 들을 수 있다.[5] 영어 음운론 및 wh의 음운론적 역사를 참조.

방언IPA
보수적인 RP[5], 재배된 남아프리카[5], 보수적인 제너럴 아메리칸[5]
아일랜드[5], 스코틀랜드[5]
남부 미국[5]
뉴질랜드[5]


3. 2. 켈트어파

콘월어에서 사용되는 '''hw'''ikw는 SWF에 의해 로 발음되며, '너희 모두'를 뜻한다.[4]

3. 3. 슬라브어파



계통언어단어IPA의미비고
슬라브어족슬로베니아어[4][슬로베니아어#쓰기 시스템|v'se]]'모든 것'무성 자음 앞 음절 시작 부분의 변이음은 모음 와 자유롭게 변동한다. 유성 자음 앞에서는 유성 로 소리난다.[4] 슬로베니아어 음운론 참조.


3. 4. 기타 언어



}와 자유롭게 변동한다. 유성 자음 앞의 유성 . 슬로베니아어 음운론 참조.

|-

| colspan="3" |와쇼어 (고립어)

| '''W'''áʔiwas

|align=center| 또는

| 그가 하고 있어

| 순음화된 연구개 마찰음 또는 무성 접근음으로 다양하게 묘사.

|}

참조

[1] 간행물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revised to 1951)
[2] 간행물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Revised to 1979)
[3] 서적 Historical Linguistics
[4] 서적 Словарь алеутско-русский и русско-алеутский (беринговский диалект) Отд-ние изд-ва "Просвещение"
[5] 웹사이트 Received Pronunciation Phonology http://www.bl.uk/lea[...]
[6] 웹사이트 Hupa Language Dictionary Second Edition http://humboldt-dspa[...] 2021-10-31
[7] 웹사이트 Full IPA Chart https://www.internat[...]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8] 서적 국제음성기호 가이드북 大修館書店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계통언어단어IPA의미비고
에스키모-알류트어족알류트어[4]Atkan'hw'ax̂rowspan=2|연기
Bering'ʼЎ'aӽ
켈트어파콘월어SWFhwikgj너희 모두
게르만어파영어보수적인 RP[5]'wh'inerowspan=3 align=center|칭얼거리다영어 는 일반적으로 순음 연구개 마찰음 또는 접근음이다. 일반적으로 /hw/로 음운적으로 표시되지만, 음성적으로 [h] + [w]의 시퀀스는 없다 (영어 음운론 참조). 제너럴 아메리칸과 뉴질랜드 영어에서는 일부 화자만이 와의 구별을 유지한다. 유럽에서는 아일랜드 영어스코틀랜드 영어 억양에서 주로 들을 수 있다.[5] 영어 음운론 및 wh의 음운론적 역사를 참조.
재배된 남아프리카
보수적인 제너럴 아메리칸
아일랜드rowspan=2 align=center|
스코틀랜드
남부 미국align=center|
뉴질랜드align=center|
아타바스칸어족후파어[6]xwe꞉yhup그의 재산무성 순음화된 연구개 마찰음.
시노티베트어족캄어Gamale Khamह्वाkgj접근음으로 설명됨.
살리시어족루쇼트시드어dʔiyblutalign=center|뉴할렘, 워싱턴
살리시어족슈스왑어secwepemctsínshsalign=center|슈스왑어
슬라브어족슬로베니아어[슬로베니아어#쓰기 시스템|v'se]]align=center|모든 것무성 자음 앞 음절 시작 부분의 의 변이음은 모음 {{lang|sio|u|}